소셜커넥션
home
About us
home

"배달의민족이 또...배달·포장 수수료 논란 이어 이번엔 라이더와도 갈등"

날짜
2025/04/22
작성자
주요 키워드

1. 기사 요약

배달의민족(배민)이 최근 배달 수수료 체계 개편 이후, 배달 라이더들과 갈등을 빚고 있음.
라이더들은 배달료가 줄었다며 단체행동(‘배민앱 OFF’)에 돌입했고, 일부 음식점들도 이에 동참.
배민은 "통합 개편 후 라이더 소득은 오히라" 주장했지만, 라이더들은 배달료 임의 조정 구조에 문제를 제기.
과거 공정위가 마련한 배달앱 자율규제안도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비판 속에 표류 중.
자율규제에 한계가 드러나고 있으며, 소상공인과 소비자 모두 피해를 입는 구조가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큼.

2. 배울 수 있는 경제 지식

1) 플랫폼 수익 모델의 양면시장 구조

플랫폼은 음식점(수요자)과 라이더(공급자) 모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수익을 창출함.
수수료 구조 변경은 양면시장 모두에 비용 전가될 수 있으며, 균형이 무너지면 거버넌스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음.

2) 시장지배력과 수수료 책정 권한

플랫폼이 사실상 배달료와 조건을 일방적으로 결정하는 구조는 시장지배력 남용 가능성을 동반함.

3) 자율규제 vs 강제규제

공정위는 자율규제를 도입했지만, 이행 강제력 부재로 실효성이 약함.
이는 정책 신뢰도 저하공공 개입 필요성 증가로 이어짐.

4) 수수료 전가와 물가 상승

수수료 부담이 음식점 → 소비자에게 전가되면, 체감 물가 상승을 초래하며 실질소득 감소 효과도 나타날 수 있음.

3. 시사점 분석

1) 플랫폼 경제의 균형 붕괴

배달의민족은 플랫폼의 핵심 참여자인 라이더, 음식점, 소비자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음.
이번 갈등은 단순한 노사 문제가 아니라, 플랫폼 독점 구조 속에서 ‘플랫폼-참여자 간 관계’가 얼마나 위태로운지 보여주는 사례.
특히, 플랫폼 기업이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가장 약한 고리(라이더, 소상공인)를 희생시키는 구조가 반복된다는 점에서 구조적 문제로 볼 수 있음.

2) ‘자율규제’의 한계와 공공 개입 필요성

공정위가 마련한 자율규제안은 실제 이행 수준이 낮아 형식적인 선언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제기됨.
반복되는 갈등은 결국 정부의 보다 강력한 규제 또는 법제화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있음.
플랫폼 경제의 공정성을 담보하려면, 단순 자율에 맡기지 말고, 이해관계자 모두의 의견을 반영한 규제 틀이 필요함.

3) 플랫폼 노동의 불안정성 심화

이번 사태는 라이더들의 노동조건이 ‘시장 논리’에 의해 일방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취약성을 드러냄.
고용보험·산재보험 등에서 벗어난 ‘비공식 노동자’의 권리 보장 문제가 부각되고 있으며,
향후 플랫폼 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이 중요 정책 아젠다로 부상할 가능성 있음.

4) 소비자 후생 감소와 인플레이션 우려

수수료와 배달비 상승은 결국 소비자 가격 부담 증가로 이어지며,
이는 체감 물가 상승 및 소비 위축으로 연결될 수 있음.
플랫폼 갈등은 단순한 ‘서비스 품질 이슈’가 아니라, 국민 생활경제에 직결되는 구조적 문제임을 보여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