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안배경]
1.
좋은 점 >> 이렇게 관심이 증가하고 있기에 우리도 했따.
2.
나쁜 점 >> 이렇게 무관심하기에 관심을 증진시키고자 했따.
청각장애인으로 인한 불이익 > 입사 면접 취소(bbc코리아), 미용시험서 쫒겨남 2022(한겨례),
아플시 수어통역사 대동해야.. 의료기관 자체적으로 배치x 2개뿐.. 또한 수여통역센터 197개 중 근무자
976명 따라서 인프라 부족
청각장애인을 위한 법과 제도 변화 > kt고객센터 수어사용, 서울지하철 수어 영상전화, 한국농아인협회
청각장애인이 운전하는 '고요한 택시'
청각장애인도 우리와 같은 세계를 느낀다! > 뇌는 외부 세계 인식 위해 시각 청각등 감각을 이용하는 것을
'다감적 처리' 라고 하는데 장애인들도 이것이 가능
ex 같은 애니메이션을 보았을 떄 같은 뇌 부위의 신경 활성화
http://m.dongascience.com/news.php?idx=58077
<서울대 한국 수화언어와 이해>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수화뿐 아니라 청각장애인의 문화와 삶 및 국내외 제도 등을 종합적으로 배운다.
김지현 서울대 기초교육원 연구교수는
“단지 수화 자체를 배우는 것을 넘어 학생들이 장애인의 삶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반적인 수어의 단어나 표현 등을 익힐 수 있었어요. 학기 말에는 실제 농인들과 간담회를 가지는데,
그분들과 직접 수화로 대화하며 그들의 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도 있답니다.
단지 수어를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농인들이 아직까지도 얼마나 불리한 사회적 위치에 있는지,
그들의 처우가 얼마나 개선되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다가가기 어렵게만 느껴졌던 농인에 대한 생각도 많이 바뀌었어요!
-수화통역사 수화기초 강의계획서 2020부산 >>수어 배우는 범위 확인가능
-<https://web.kangnam.ac.kr/menu/board/info/e4058249224f49ab163131ce104214fb.do?encMenuSeq=1056addfbd6d939580620e461b59b641&encMenuBoardSeq=ffed08921764a4a09ac59abde404e5f0>
강남대학교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DGUk+DGUk_005k+DGU_005k_2021_3_5/about> >>대구대학교 노래를통해!
- 단순하게 수어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청각장애인의 주변 환경과 역사, 개론 등등 여러 가지 같이 배움
Plain Text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