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커넥션
home
About us
home

소크라테스의 비결

책이름
인간관계론
날짜
2024/06/19
날짜 : 2024년 6월 19일
책제목 : 인간관계론
저자 : 데일 카네기
p.199~200
다른 사람과 대화할 때, 서로 의견이 다른 부분부터 이야기하지 마라. 상대방과 당신이 동의하고 있는 부분을 강조하면서 시작하고, 계속 그 부분을 강조하라. 가능하다면 둘 다 같은 목적을 추궇가ㅗ 있으며, 단지 방법이 다를 뿐이라는 점을 계속해서 강조하라.
오버스트릿 교수는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에서 이렇게 말했다. “’아니요’라는 반응은 극복하기 매우 힘든 장애물이다. 어떤 사람이 ‘아니요’라고 말하는 순간 그의 자존심은 일관성 있는 사람이 되도록 요구한다. 그가 나중에 ‘아니요’라는 반응이 경솔했다고 느낄 수도 있다. 하지만 그의 소중한 자존심을 고려해주어야 한다! 일단 어떤 것을 말하고 나면, 그 말을 고수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처음부터 긍정적인 방향으로 상대방을 이끌고 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말을 솜씨 있게 하는 사람들은 처음부터 많은 ‘네 반응’을 이끌어 낸다. 그럼으로써 그의 말을 듣는 사람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움직이게 만드는 심리적 과정을 작동시킨다. 마치 당구공의 움직임과도 같다. 일단 한 방향으로 공을 쳐서 전진시키면 나중에 방향을 바꿀 때 힘이 들고, 아예 반대 방향으로 튀게 하려면 더 큰 힘이 필요하기 마련이다.
여기서 작동하고 있는 심리적 패턴은 명확하다. 어떤 사람이 ‘아니요’라는 말을 하고 진심으로 그런 마음을 가지고 있을 때, 그 사람은 단순히 ‘아니요’라고 말하는 것보다 더 많은 행동을 하게 된다. 분비기관, 신경계, 근육을 포함한 그의 몸 전체가 거부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잠깐에 불과하지만 때로는 눈에 띌 정도로 몸이 움츠러들거나 혹은 움츠러드는 기미를 보이게 된다. 요컨대 신경-근육계 전체가 어떤 일을 받아들이지 않도록 미리 대비한느 자세를 갖추는 것이다. 반면에 어떤 사람이 ‘네’라고 하는 경우에는 그런 행동은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 그 사람은 오히려 몸을 앞으로 움직이며 개방적으로 받아들이는 자세를 취한다. 따라서 처음부터 ‘네’라는 대답을 좀 더 많이 이끌어낼 수 있다면, 우리가 결국 하고 싶은 이야기로 관심을 유도하는 데 성공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