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록기간 : 2007 ~ 2022
자료갱신일 : 2023.05.09
2022년 전국 등록 장애인 수
계 : 2,652,860
남 : 1,534,655
여 : 1,118,205
대구 : 127,611 명
(전국 10번째 / 도~자치시 )
2022년 전국 등록 청각 장애인 수
계 : 425,224
남 : 223,500
여 : 201, 724
대구 : 26,911
(전국 5번째)
비교 : 강원도 : 15,119명 (전국 11번째) -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각장애인을 위한 강의 제공
전국 장애인 유형별 비율
1.
지체 : 1,176,291
2.
청각 : 425,224
3.
시각 : 250,767
4.
뇌병변 : 245,477
5.
지적 : 225,708
대구 장애인 유형별 비율
1.
지체 : 49,661
2.
청각 : 26,911
3.
뇌병변 : 12,272
4.
시각 : 11,788
5.
지적 : 10,680
수어 관련 통계
수록기간 : 2017~2020
자료갱신일 : 2023.03.27
1.
주된 의사소통 방법으로 수어 사용 여부
수록기간 : 2020~2020
자료갱신일 : 2021.07.13
전체
사례수 539 / 예 : 54.2% 아니요 45.8%
2.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
- 대화 상대방이 농인일 경우
수어 55.9 구화 21.4 필담 6 스마트기기 0.4 속기지원 0.3 기타 11.7 무응답 4.3
- 대화 상대방이 청인일 경우
사례 수 539 / 구화 43.1% 필담 26.7% 수어 10.3% 스마트기기 4% 속기 지원 0.2% 기타 15.1% 무응답 0.7%
3.
수어를 표현할 수 있는 정도
사례 수 539 / 전혀 x 34.6 거의x 9.2 어느정도o 17.4 거의o 14.4 모두o 24.1 무응답0.3
4.
타인의 수어를 이해할 수 있는 정도
전혀 x 33 거의x 10.8 어느정도o 17 거의o 16.6 모두o 22.1 무응답 0.6
5.
수어를 주로 가르쳐주는 사람
사례수 292
농학교 선생님 41.6% 농인친구 25.1% 농학교선후배 12.9% 수어강사3.6% 농인부모1.8% 청인부모1.6%
6.
수어통역이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영역
사례수 539
의료 35.4 일상생활 30.9 방송 8.4 교육 5 법률 4.2 직업 3.4 유튜브 등 동영상 1.8 등등
7.
학교에서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
사례수 417
수어 42.1 구화 32.1 필담 2.2
8.
수업시 교사가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구화 36.5 수어 35.2 필담 3.6
9.
수업 시 수어가 없는 수업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
사례수 417
전혀x 19.7 거의x 30.7 어느정도 이해 6.1 거의 이해 1.3 모두 이해 0.5
10.
수업내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지원받은 방법
사례수 539
없다 57.7 수어통역 19.9 문자 3.5 자리배치 3.2 도우미친구 지원 2.9 요약정리 2.5 스마트기기 지원 0.6
11.
농인이 교육받을 때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지원
수어로 수업가능한 교사 배치 46.4 수어통역 서비스 13.9 농인에게 맞는 교재 개발 10.3 보장기기 지원 9.5 등
12.
한국수어를 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일
수어통역사 양성 24.9 수어교육원 설치 17.6 수어교원 양성 및 수어교육 활성화 16.1 수어 발전 및 보존을 위한 연구 산업 13.4 사전개발 9.5 수어자료 수집 사업 6.3
한국 수어의 날
2월 3일
한국수화언어법 제정일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법정 기념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