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소개
개요
분류 : 외국인 문화교류 커뮤니티
커뮤니티명 : KFConnections (Korean Foreigner Connections)
멤버 수 : 약 50명 (운영진 5명 / 오픈채팅방에 참여하지 못한 멤버 제외)
활동 기간 : 2024년 03월 ~ 2024년 05월
활동 영역 : 온라인(자체 웹페이지, 인스타그램), 오프라인 행사
주 역할 : 대표 | 기획, 진행, 운영
동기
•
단기 프로젝트 경험 그리고 체계성을 갖춘 기관, 기업에서의 중장기 프로젝트의 경험을 넘어 올해는 제가 직접 커뮤니티를 만들어 운영해보고 싶었습니다.
•
2023년 2학기, 미국 Bridgewater State University에서의 교환학생 생활에서 현지 학생들에게 받은 고마운 마음을 본교에서 교환학생들에게 새로운 가치로 전파해주고 싶었습니다.
•
2023년 상반기까지 제 본교에는 외국인을 주 타겟으로, 이들을 위한 동아리나 커뮤니티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이들이 좋은 추억을 만들어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고 싶었습니다.
과정
2~3월
•
커뮤니티를 함께 운영할 운영진 4명을 모집했습니다.
•
외국인 대상 사업을 수행하는 로컬기업으로부터 최대 500만 원의 사업비 지원이 확정되었습니다.
4월
•
기업이 바라는 가치와 KFConnections에서 이해한 조건의 내용이 달라, 지원이 철회되고 맙니다.
•
지원이 철회될 것을 예상하지 못한 채 준비한 타 기관의 지원사업, 타 기업과의 연계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엔 자금이 매우 부족한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
예상치 못한 외부 환경 이슈와 다른 커뮤니티 업무를 처리하는 데에 집중하느라, 조직관리에 소홀해지고 말았습니다.
5월
•
5월 초, 마침내 이루어진 로컬기업 업무 담당자와의 미팅으로 양측의 오해를 풀 수 있었고, 기관 사업에서의 필요분의 사업비 일부를 요청드릴 수 있었습니다.
◦
미팅에서 좋은 결과를 만들기 위해 협상력을 올릴 수 있는 방법으로 총 두 가지 방법을 시도했습니다.
▪
사업, 협상에 경험이 있는 멘토의 조언과 ‘협상의 기술’, ‘인간관계론’ 책에서 주는 지식
•
미팅 결과는 긍정적이었으나, 두 개의 커뮤니티를 무에서 창조해 운영해나가는 것,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처리하면서 조직까지 관리하는 것, 그러면서도 학업, 업무 등을 수행해나가는 과정에서 결국, 저는 심한 몸살감기를 겪게 됩니다.
•
조직에게 비전을 지속적으로 주입하며 관리하지 못했고, 나 자신이 가치를 제공하지 못하는 상태에 접어들게 됨에 따라 선택과 집중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
아직 부족함을 느낀 저는 역량을 키우기 위해, 그리고 하나의 커뮤니티 ‘Social Connection’을 집중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KFConnections 커뮤니티 활동을 종료하였습니다.
주요 활동
주요 프로젝트
Search
성과 및 배운점
성과
•
짧은 활동기간, 많지 않은 횟수의 행사에도 불구하고 약 50명의 멤버가 모였습니다.
•
KFConnections의 활동이 로컬기업의 사업 홍보에 기여할 수 있었습니다.
배운점
•
무엇보다도, 글이나 말로 배우는 것보다 몸으로 직접 경험하며 배우는 것이 더 큰 가치가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
조직원이 이 조직에서 진정으로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는 점을 배웠습니다.
•
기회가 오면 쟁취해야 하지만, 그 기회를 쟁취하는 과정에서 세심한 분석과 신중한 판단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배웠습니다.
•
내가 제공할 수 있는 가치와 기업/기관/소비자가 원하는 가치는 엄연히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업무의 체계성과 전문성이 결과의 효율성과 효과성에 큰 차이를 가져다준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