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커넥션
home
About us
home

구체적 사업내용

1. 사업 실천방법 : 이여민, 이민규

사업 구체적 내용.hwp
60.0KB
1) 프로그램 개요
교양
간단 소개
이유 (?)
지자체 협업 프로그램
동일
2) 프로그램 상세 계획 > 심화프로그램 , 지자체 토론수업으로 인한 연계
1) 교양
뭐 할건데
어떤 커리큘럼인데
누구로 구성되어있는데
2) 지자체 협업 프로그램
비슷하게
(강의계획서 소개내용)
우리가 굳이 대학에서 열려고 하는 이유는 도구로써 수화를 배워서 청각장애인과 대화하는 것도 좋지만
대학생으로서 어떤 태도로 바라보는지, 다른 사람들에게 수어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전파하는 능력이 있는 커리큘럼 개발했으면 좋겠다.

2. 사업 수행 기간 : 서원준

3. 사업의 적절성 및 다른 사업과의 차별성 : 진지민

STP
Segmentation : 수어에 관심이 있는 대학생 및 지역주민
Positioning
Targeting : 수어에 관심이 있지만 막상 배우기 어려웠던 대학생 및 지역 주민에게 단순히 도구로서의 수어가 아닌 언어로서의 수어를 교육
-교양: 체계적이고 본질적인 수어교육/ 교양수업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학생들이 보다 쉽게 접근 할 수 있음/ 교양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대학생들이 관심 가질 수 있도록 장려, 수어를 활용한 홍보(수어로 홍보영상 제작 등)을 통해 학생들의 관심 촉구
-지역 프로그램: 수어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한 교육, 지역 주민들이 보다 쉽게 수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 토론회, 역할극 등 수어를 활용한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 기존의 수어교육과는 다른 양질의 교육 제공 가능/ SNS마케팅 등 보다 많은 사람들이 해당 프로그램을 인지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홍보 필요.
SWOT (사업 수행 장애 요인)
Opportunity : 계속 수어 관련 지원, 기관 늘어나는중 수어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 증가, 클래스 101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수어교육 받을 수 있음.
Threat : 현재 수어에 대한 인식(수단으로서의 수어교육) 수어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곳은 많지만, 본질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사람들도 수단으로서 수어를 접하고자 함.
→교양 1-2주차 수업에서 수어 교육의 필요성, 농인들에 대한 이해 등을 교육한다면 학생들도 단순히 수단으로서 수어를 배워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수어를 하나의 언어로 인식하고 보다 진지한 자세로 배우고자 할 수 있음.
Strength
-교양: 다른 학교에 잘 없는 특별한 교양임. 한 강의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어1, 수어2 등 심화 수업을 통해 더 본질적이고 다양한 교육제공 가능.
-지역사회 프로그램: 수어를 배우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배운 수어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최. 이를 통해 지역 주민들이 수어를 친근하게 느끼고 나아가 농인들에게 관심을 가질 수 있음.
Weakness : 학생들이 교양이 개설되었는지 잘 모를 수 있음. 대학생들을 상대로 하는 교육으로만 그칠 수 있음→ 지역사회 프로그램 및 토론회 등을 통해 극복가능

4. 자금조달 계획 : 서원준

Tam Sam Som
Tam : 대구시 2023년 교육청 예산 4조 3,922억원 (기금제외)
전년 예산 대비 6,693억원 증가
Sam : 정책사업별 세출 : 교육 일반 3,472억원
Som : 세부사업별 세출 : 교수-학습 활동지원 3,679억원
*교육과정 개발운영 세출(2021년) : 944억 8천만원

5. 향후계획 : 한지윤

이건 그냥 포괄적으로 쓰면 됨~!